Java 썸네일형 리스트형 JAVA 람다함수 총정리 유래λ-calculus(람다대수)에서 유래했다. 어것은 1930년경 논리학등에 사용하기 위해 제안된 수학적 형식인데, 예를 들면 아래와 같다. 의미는 "매개변수를 받아 1을 더해서 반환한다" 이다.λx.x+1 'λ'다음에 매개변수 'x'가 선언되고, '.'뒤에 함수의 내용이 정의된다. 이 형식은 2가지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. 하나는 '함수를 정의' 한다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함수의 이름이 없다는 것이다. 따라서 λ는 Anonymous function을 의미한다. 왜 λ(람다)를 쓰게 되었을까?현대의 프로그래밍 언어는 대부분 객체지향이거나 적어도 이 방식에 근거를 한다. 대표적인 언어가 JAVA인데, 객체지향적인 언어의 규약이 가끔은 비효율적인 경우가 있다. λ(람다)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입이 되었다... 더보기 이전 1 다음